스톡사진 등록하기
지난 글에서 셔터스톡을 비롯한 몇 개 사이트에 스톡사진 등록 방법을 작성했습니다.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2020/07/20 - [슬로우 스타터/02 N잡_후기]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이번 포스팅은 그에 이어서 다른 사이트에도 스톡사진을 등록하는 방법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1. 크라우드픽
사이트로 들어가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저는 네이버 아이디와 연동해서 사용했습니다.
편리하기도 하고, 주간 사진 판매 현황을 정산해서 메일로 보내주는 서비스도 해주고 있습니다.
가입 후 우측 상단의 '작가 홈'으로 들어갑니다.
우측의 '스톡 이미지 업로드'로 들어가 사진을 업로드해주면 됩니다.
역시 한국 사이트들은 친절하게 설명을 해놓았습니다.
한 번 업로드 시 최대 20장까지, 그리고 업로드 가능한 사진의 최대 용량은 30MB입니다.
크라우드픽에 사진을 업로드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초상권 및 저작권에 관한 설명을 적는 란에 사람이나 창작물 뿐만 아니라 건물에 대한 위치도 정확하게 기재해야 승인이 된다는 점입니다.
아래 업로드 시 화면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상업적 용도'에 체크하고, 태그를 작성하는 것도 타 사이트와 다를 바가 없으나, 제가 표시한 초상권 및 재산권에 관한 정보에 사진에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도 정확하게 기재해야만 합니다.
위 사진의 경우, 제가 정확한 위치를 기입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재산권 및 초상권 위반으로 승인이 거절되었습니다.
위 사항만 잘 따라서 작성을 해주시고, 제출하시면 아래와 같이 해당 사진에 대한 검토 진행 후 판매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2. 디포짓포토(DepositPhotos)
디포짓포토의 경우, 판매자가 되기 위한 샘플을 제출해야 하는 곳입니다.
게다가, 판매자가 되기 위한 심사의 기준이 아주 까다로운 편이라 웬만큼 잘 찍은 사진이 아니면 판매자조차 되기가 어렵습니다.
우선, 도전은 해보겠습니다.
사이트로 들어가서 가입을 진행 후, 스크롤을 내려 가장 아래로 내려갑니다.
좌측 하단에 '스톡 사진 판매' 가 있고, 이걸 클릭해 줍니다.
이제 판매자가 되기 위한 샘플용 사진과 신분증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해당 사이트에서 원하는 자료를 업로드하고 제출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미완료'라는 상태로 넘어가며 판매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거치게 됩니다.
판매자로 승인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판매하기 위한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3. 픽스타 PIXTA
픽스타 또한 바로 위에 나온 디포짓포토처럼 신분증을 제출해야 하는 사이트입니다.
다만 대부분의 사이트가 그렇듯 판매자가 되기 위한 심사를 따로 거치지는 않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서 우측 상단을 보면, '판매자가입'이 따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클릭 후 절차에 따라 가입을 진행하면 됩니다.
가입이 완료되고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 콘텐츠 등록'을 누르면, 처음 업로드하는 분들에 한해 테스트를 치러야 합니다.
시험은 저작권 및 재산권에 관한 내용이며, 어렵지 않고, 혹시 틀리더라도 기회를 주므로 사실상 '나는 로봇이 아닙니다'를 조금 번거롭게 클릭하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시험을 간단히 통과하고 나면, 최대 30개의 사진을 한 번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복수 파일 편집 기능이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지난 포스팅에 작성한 것처럼 비슷한 위치나 주제의 사진끼리 묶어서 올리는 것이 일이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사진 정보를 입력하고 제출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고, 심사를 거친 후 판매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것입니다.
스톡사진 판매하기_006 스톡사진 등록하기(123rf/네이버OGQ/유토이미지) (0) | 2020.07.29 |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4 스톡사진 등록하기(셔터스톡Shutterstock/EyeEm/드림스타임Dreamstime) (0) | 2020.07.20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3 스톡사진 등록 시 거절 사유 및 유의사항 (0) | 2020.07.16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2 스톡사진 판매 사이트 소개 (0) | 2020.07.12 |
스톡사진 판매하기_001 사진 용량/크기 줄이기 (0) | 2020.07.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