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배당금과 관련된 배당락일(배당기준일), 그리고 관련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엄연히 말하자면 '배당기준일'과 '배당락일'은 서로 다른 용어입니다.
'배당기준일'은 배당지급을 받기 위해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마지막 날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을 뜻합니다.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권리하가 없어진 날(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을 뜻합니다.
즉, 배당락일은 배당기준일의 다음 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지급일(Pay Date)에 주식을 매수한다고 해서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기업에서 발표하는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지급일(Pay Date)에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배당락일(Ex-Dividend)에 매수한 주식에 대해서는 당회에 지급하는 배당금을 지급 받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또 한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매수하면 배당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요?
답은 'NO' 입니다.
국내 주식은 매수 주문 후 결제일까지 영업일 기준으로 2일이 소요됩니다.
해외 주식의 경우 3일이 소요됩니다.
이번 달 달력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주식의 '배당기준일'이 8/18 이라고 하면, 8/17 임시공휴일은 휴장일 입니다.
그러므로, 2 영업일 전인 8/13에는 매수 주문을 해주셔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주식의 경우는 3일이 소요되므로, 8/12 에는 매수해주셔야 합니다.
국내 주식 중 분기 배당 지급을 하는 '삼성전자'의 경우를 보겠습니다.
위의 배당 정보를 보는 방법은 지난 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렸습니다.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배당(정)기준일'과 '배당지급일' 간 길게는 3달 반에서 짧게는 1달 반 정도까지의 기간이 소요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을 받기 위해서 배당지급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배당기준일까지만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가, 바로 다음 날인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배당기준일이 지나고 나면 주식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바로 파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마무리
1.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기준일 2영업일(국내), 3영업일(미국) 이전 매수 주문해야 합니다.
2.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 되면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은 받을 수 있습니다.
3. 배당지급일(Pay Date)에 배당을 지급 받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주식별 배당기준일과 배당일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06_국내 분기/반기 배당주식 확인하기 (0) | 2020.08.17 |
---|---|
005_주식 배당락일(배당기준일) 및 배당지급일 확인하기 (0) | 2020.08.12 |
003_주식 배당금 내역 확인하기(Dividened.com) 및 해외주식 Ticker 검색 방법 (0) | 2020.08.03 |
002_변경된 주식 양도소득세 정리 (2020.07.22) (0) | 2020.07.26 |
001_변경된 주식 양도소득세 정리 (2020.06.25) (0) | 2020.06.28 |
댓글 영역